안녕하세요
국소마취제 부작용 때문에 검색하다가
마취통증의학과 김동수 교수님께서 운영하시는 블로그를 보고 방문하였습니다.
제가 요 며칠전에 안과에서 검사 받는 도중
마취안약을 넣고 부작용이 있었습니다.
증상 : 어지럽고, 속 메스꺼움..심장박동수 증가..
저도 너무 놀랬기도 하고 팔다리에 힘도 없어져서 주저 앉았었는데요..
2~30분간 휴식을 취하고 나니 괜찮아 졌습니다..ㅠㅠ
생각해 보니 3년 전에도 같은 일이 있었던 것 같아요
그때는 제가 겁이 많아서 심적으로 ..긴장해서 그런줄 알았는데ㅠㅠ
지금 검색을 통해서 여러가지 알아보니 마취약의 부작용이였던것 같습니다..ㅠㅠ
눈에 부분마취를 하고 수술(미용)한적이 있었는데..
마취하고 2~3분 지나서 몸에 반응이 왔었어요
(심장박동수 증가, 체온상승)
제가 검색을 통해 마취 부작용에 대해 알아낸 것은,
1. 마취제도 체질을 따진다.
체질에 안맞으면 부작용도 나고 사망도 할 수 있음.
2.마취약이 혈관을 타고 눈 주변에서 머리쪽으로 흘러감에 따라 뇌에 부분적이 마비가 생겨 어지럽고 속이 매스껍고, 미약한 염증방응에 따라 체온이 올라감.
이정도 인데요..ㅠㅠㅠ맞나요?...(제가 지식인에 물어본거라..ㅠㅠ)
아무튼,,정말 너무 궁금한 것이..
제가 혹시나 사고가 나서 눈 부분마취를 해야하는 순간이 오면(사람일은 모르는 거잖아요 ㅠㅠ)
그 때 눈 부분마취 할 수 없나요? ㅠㅠ
제 경험상, 어느정도 적정량만 마취하면 죽을 정도는 아닌것 같아서요..(2~30분 지나서 안정을 찾음)
적정량으로만 마취를 하면 될 꺼 같은데..
그 적정량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혹시 있을까요..?
너무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마취약에 대해 아는 것도 없고 .ㅠㅠ
그래도 전문분야에 계신 교수님께 여쭤보는게 제일 정확할꺼 같아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 블로그를 방문해주시고 글도 보내주셔서 고맙습니다.
질문 내용으로 봐서 안과 선생님이 답변해주시는 것이 더 정확하리라고 생각합니다만 이왕 저에게 질문을 보내주셨으니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 드리겠으며 만일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안과 선생님에게 문의하셔서 도움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안과에서 어떤 약을 사용하였는지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보내주신 글의 내용으로 봐서 아마도 안과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알카인 (alcaine)이라는 점안용 국소마취제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었던가 생각합니다.
알카인은 현재 안과에서 안압을 측정하거나 우각검사, 각막의 이물 및 봉합사 제거 등과 같은 간단한 각막 및 결막 처치 시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드물게 일시적으로 자극감이나 작열감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예민한 환자에서 약간 어지럽거나 메스꺼운 기분이 든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이런 증상들이 사라지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환자 입장에서는 신경이 안 쓰일 수가 없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현재로서는 알카인이 유일한 점안용 국소마취제이므로 다음에 또 부득이 안과적 검사를 받게 될 경우에 이런 현상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그 때는 안과 선생님에게 이런 사실을 미리 말씀드려서 안전한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협조해주시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적정량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문의하셨는데 현재로서는 알카인의 적정량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농도가 0.5%인 알카인을 1-2 방울 떨어뜨려서 마취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보다 더 적은 양을 사용하면 적절한 마취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참고로 약학정보원 (www.health.kr)에서 알카인에 관해서 올린 정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상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한 환자
2) 미숙아 및 에스테르형 국소마취제를 대사시키는 효소계가 미숙한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심질환 환자
2) 갑상선 기능항진증 환자
3. 부작용
1) 때때로 일시적인 자극감, 작열감, 결막홍조가 나타날 수 있다.
2) 급성의 격심한 광범위 상피성 각막염, 상피세포의 괴사성 부육형성, 각막 필라멘트, 데스메막염을 동반한 홍채염 등을 특징으로하는 중증의 알레르기성 각막반응이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
3) 손가락 끝의 건조 및 균열을 동반하는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이 보고되었다.
4. 일반적 주의
1) 안과용 국소마취제의 장기간 사용으로 시력상실을 동반한 영구적인 각막혼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다.
2) 마취에서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눈을 만지거나 비비지 않는다.
3) 점안시 일시적인 시력불선명이 생길 수 있으므로 시야가 선명해질 때까지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및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신중히 투여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건강하세요~~
내 modoo! 홈페이지, 더 많이 방문하도록 홍보하고 싶다면?
네이버 검색창에 "iloveheart.com@"으로 검색하도록 안내하세요.
"홈페이지명"에 "@"을 붙여 검색하면
네이버 검색에서 modoo! 홈페이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기호 @은 영어 "at(~에)"를 뜻하며, 홈페이지 주소 modoo.at에서 at을 의미합니다.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