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소사

최초 여성 병원 보구여관

1887년 서울 정동에 '보구여관(保救女館·여성을 보호하고 구하는 곳)'이란 이름의 병원이 세워졌다. 고종 황제가 직접 지어 내린 이름이었다. 

보구여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여성을 위해 만들어진 병원으로 윌리엄 스크랜튼 목사가 제안하고 감리교 여의사인 메타 하워드가 병원을 설립했다. 현 이화여대 부속병원의 전신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한국 간호 112년의 역사가 시작됐다. 

서구에서는 1860년 나이팅게일에 의해 첫 정규 간호 교육 과정이 시작됐고, 이후 43년이 지나 한국에서도 간호교육의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1903년 12월 보구여관에 우리나라 최초 간호원 양성소가 만들어졌고, 미국 미시간대 간호학과를 졸업한 마거릿 에드먼즈가 초대 교장으로 간호학생들을 교육하기 시작했다.

5년 뒤인 1908년 11월 5일 졸업한 이 그레이스와 김 마르타라는 두 명의 학생이 한국인 최초의 간호사가 되었으며  같은 해 6월 한국에서 처음으로 의사 7명이 배출돼 1908년은 한국 의료계에서 역사적인 해가 됐다.

에드먼즈는 'Nurse'의 한국어 명칭인 '간호원'이란 단어를 만들었다. 책임감 있게 돌본다는 의미를 갖는 간(看)과 돕거나 보호한다는 의미의 호(護)자를 합쳐 만들었다. 

일제시대에는 간호부라고 불리기도 했고, 1987년 간호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한국에 들어온 첫 선교 간호사는 1891년 내한한 영국 성공회의 히드코트였다. 그녀는 서울 정동의 병원과 부인들을 위한 진료소에서 5년간 활동하다가 귀국했다.

현대사의 중요 순간마다 간호사들은 빛을 발했다. 일본 강점기 때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들도 많았다. 1919년에 세브란스 병원 간호부에 소속된 여성 4명이 독립운동으로 징역 6개월을 선고받았다. 1914년부터 1944년까지 서울과 평양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했던 간호사도 28명에 이른다.


<chosun.com  2015.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