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소사

치질 환자가 日王에게 감사 편지를 쓴 까닭은? 

메이지 천황께 감사드립니다

"본인은 42세로서 1907년부터 치질이 발생해 6년간 약을 시험해보았지만 효과가 없었다. 인자한 황제의 넓은 덕으로 이 지역에 자혜의원(慈惠醫院)이 설치됨에 따라 그 은혜를 입어 치료를 받았다. 22일 만에 모두 나았으니 치료를 통해 백성을 구하고자 하는 그 성스러운 덕에 감사하며 영원히 잊지 않을 것을 기약한다."

자혜의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가 쓴 감사의 편지이다. 여기서 그가 감사하고자 한 황제는 누구일까? 1897년 조선은 종래의 사대 관계를 벗고 대한제국이 되었다. 국왕도 황제가 되었다. 그렇다면 이 사람이 감사하고자 한 황제는 고종? 아니면 고종의 뒤를 이은 순종? 모두 아니다.

이 한국인이 감사를 표시한 대상은 일본의 메이지 천황이다. 왜 이 사람은 일본의 왕에게 감사의 편지를 보냈을까? 그가 치료를 받은 자혜의원이 대한제국이 아닌 일제에 의해 설립되었기 때문이다.

자혜의원은 1909년 12월 전라북도 전주, 충청북도 청주, 1910년 1월 함경남도 함흥에 각각 설립되었다. 1910년 10곳이 증설되면서 모두 13곳, 즉 각 도마다 1개씩 설립되었다. 자혜의원이 설립되면서 지방민들은 중앙에서 건립한 의료 기관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1920년대 중반 도립의원으로 개편되어 1945년 해방이 될 무렵 그 숫자는 46개로 늘어났다. 각 도마다 3개꼴이었다.

자혜의원은 초창기에 환자를 무료로 진료하였다. 설립 목적 자체가 가난한 사람들의 진료에 있었기 때문이다. 무료 진료 혜택은 한국인들이 더 폭넓게 이용하였다. 일본인의 경우 부군청, 헌병대, 경찰서, 거류민단, 학교 조합의 증명서가 필요했지만 한국인의 경우 특별한 증명서 없이도 진료를 받을 수 있었다.

사실 자혜의원의 설립 자체가 일본 육군의 지원 덕분에 가능했다. 조선주차군이 의료기구와 약품 5만 원 어치를 통감부에 기부함에 따라 자혜의원이 설립되었던 것이다. 설립 논의를 진행하였던 것도 조선주차군 군의부장으로 병합 후 총독부의원장이 된 후지타 스구아키(藤田嗣章)였다.

일본 군의들은 일본 정부가 특별히 양성한 의사인 만큼 일반 의사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그들의 주요 목적은 부상자의 치료였다. 

외과 경험에 비해 내과 경험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그들의 치료 대상은 군인인 성인 남성이었다. 군인들에 대한 진료 경험은 풍부하지만 부인과, 소아과 경험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었다. 군의들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진료에서 가지는 한계는 분명했다.

한국인에게는 또 다른 고통이 있었다. 말이 통하지 않았다. 통역이 있다고 해도 일본인 의사에게 자신의 고통을 충분히 이해시킬 수는 없었다. 한국인 환자들은 "말과 정(情)이 잘 통하지 않는 의료 기관에서 진료받기를 싫어"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언어와 문화가 다른 일본 의사들이 한국인에게 친숙한 상대가 될 수는 없었다.


<글 : 박형우, 박윤재/연세대 교수 www.pressian.com>